이 튜토리얼은 10편으로 이뤄진 시리즈입니다. 이전 / 다음 편을 확인하시려면 목차를 확인하세요.
자 이번에는 리액트의 LifeCycle API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API 는 컴포넌트가 여러분의 브라우저에서 나타날때, 사라질때, 그리고 업데이트 될 때, 호출되는 API 입니다.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한번 세세히 파헤쳐봅시다.
컴포넌트 초기 생성
일단, 컴포넌트가 브라우저에 나타나기 전, 후에 호출되는 API 들이 있습니다.
constructor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
이전에 언급 한적이 있죠? 이 부분은 컴포넌트 생성자 함수입니다. 컴포넌트가 새로 만들어질 때마다 이 함수가 호출됩니다.
componentWillMount
componentWillMount() {
}
이 API 는 컴포넌트가 여러분의 화면에 나가나기 직전에 호출되는 API 인데요, 이 API 에 대해선 별로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원래는 주로 브라우저가 아닌 환경에서 (서버사이드)도 호출하는 용도로 사용했었는데, 이 API 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어 리액트 v16.3 에서는 해당 API 가 deprecated 되었으니, 아, 옛날엔 이러한 API가 사용됐었구나.. 하고 알아만 두시면 됩니다. v16.3 이후부터는 UNSAFE_componentWillMount()
라는 이름으로 사용됩니다. 기존에 이 API 에서 하던 것들은 위에 있는 constructor 와 아래에서 다뤄볼 componentDidMount 에서 충분히 처리 할 수 있습니다.
componentDidMount
componentDidMount() {
// 외부 라이브러리 연동: D3, masonry, etc
// 컴포넌트에서 필요한 데이터 요청: Ajax, GraphQL, etc
// DOM 에 관련된 작업: 스크롤 설정, 크기 읽어오기 등
}
이 API 는 여러분의 컴포넌트가 화면에 나타나게 됐을 때 호출됩니다. 여기선 주로 D3, masonry 처럼 DOM 을 사용해야하는 외부 라이브러리 연동을 하거나, 해당 컴포넌트에서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해 axios, fetch 등을 통하여 ajax 요청을 하거나, DOM 의 속성을 읽거나 직접 변경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컴포넌트 업데이트
컴포넌트가 업데이트는 props 의 변화, 그리고 state 의 변화에 따라 결정됩니다. 업데이트가 되기 전과 그리고 된 후에 어떠한 API 가 호출 되는지 살펴볼까요?
componentWillReceiveProps
componentWillReceiveProps(nextProps) {
// this.props 는 아직 바뀌지 않은 상태
}
이 API 는 컴포넌트가 새로운 props 를 받게됐을 때 호출됩니다. 이 안에서는 주로, state 가 props 에 따라 변해야 하는 로직을 작성합니다. 새로 받게될 props 는 nextProps 로 조회 할 수 있으며, 이 때 this.props 를 조회하면 업데이트 되기 전의 API 이니 참고하세요. 이 API 또한 v16.3 부터 deprecate 됩니다. v16.3 부터는 UNSAFE_componentWillReceiveProps()
라는 이름으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이 기능은 상황에 따라 새로운 API getDerivedStateFromProps 로 대체 될 수도 있습니다.
[NEW] static getDerivedStateFromProps()
이 함수는, v16.3 이후에 만들어진 라이프사이클 API 인데요, 이 API 는 props 로 받아온 값을 state 로 동기화 하는 작업을 해줘야 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static getDerivedStateFromProps(nextProps, prevState) {
// 여기서는 setState 를 하는 것이 아니라
// 특정 props 가 바뀔 때 설정하고 설정하고 싶은 state 값을 리턴하는 형태로
// 사용됩니다.
/*
if (nextProps.value !== prevState.value) {
return { value: nextProps.value };
}
return null; // null 을 리턴하면 따로 업데이트 할 것은 없다라는 의미
*/
}
shouldComponentUpdate
shouldComponentUpdate(nextProps, nextState) {
// return false 하면 업데이트를 안함
// return this.props.checked !== nextProps.checked
return true;
}
이 API 는 컴포넌트를 최적화하는 작업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우리가 저번에 배웠을 떄, 리액트에서는 변화가 발생하는 부분만 업데이트를 해줘서 성능이 꽤 잘 나온다고 했었지요? 하지만, 변화가 발생한 부분만 감지해내기 위해서는 Virtual DOM 에 한번 그려줘야합니다.
즉, 현재 컴포넌트의 상태가 업데이트되지 않아도, 부모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되면, 자식 컴포넌트들도 렌더링 됩니다. 여기서 “렌더링” 된다는건, render() 함수가 호출된다는 의미입니다.
변화가 없으면 물론 DOM 조작은 하지 않게 됩니다. 그저 Virutal DOM 에만 렌더링 할 뿐이죠. 이 작업은 그렇게 부하가 많은 작업은 아니지만, 컴포넌트가 무수히 많이 렌더링된다면 얘기가 조금 달라집니다. CPU 자원을 어느정도 사용하고 있는것은 사실이니까요.
쓸대없이 낭비되고 있는 이 CPU 처리량을 줄여주기 위해서 우리는 Virtual DOM 에 리렌더링 하는것도,불필요할경우엔 방지하기 위해서 shouldComponentUpdate 를 작성합니다.
이 함수는 기본적으로 true 를 반환합니다. 우리가 따로 작성을 해주어서 조건에 따라 false 를 반환하면 해당 조건에는 render 함수를 호출하지 않습니다.
componentWillUpdate
componentWillUpdate(nextProps, nextState) {
}
이 API는 shouldComponentUpdate 에서 true 를 반환했을때만 호출됩니다. 만약에 false 를 반환했었다면 이 함수는 호출되지 않습니다. 여기선 주로 애니메이션 효과를 초기화하거나, 이벤트 리스너를 없애는 작업을 합니다. 이 함수가 호출되고난 다음에는, render() 가 호출됩니다. 이 API 또한 v16.3 이후 deprecate 됩니다. 기존의 기능은 getSnapshotBeforeUpdate 로 대체 될 수 있습니다.
[NEW] getSnapshotBeforeUpdate()
이 API 가 발생하는 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render()
- getSnapshotBeforeUpdate()
- 실제 DOM 에 변화 발생
- componentDidUpdate
이 API를 통해서, DOM 변화가 일어나기 직전의 DOM 상태를 가져오고, 여기서 리턴하는 값은 componentDidUpdate 에서 3번째 파라미터로 받아올 수 있게 됩니다.
예시코드:
getSnapshotBeforeUpdate(prevProps, prevState) {
// DOM 업데이트가 일어나기 직전의 시점입니다.
// 새 데이터가 상단에 추가되어도 스크롤바를 유지해보겠습니다.
// scrollHeight 는 전 후를 비교해서 스크롤 위치를 설정하기 위함이고,
// scrollTop 은, 이 기능이 크롬에 이미 구현이 되어있는데,
// 이미 구현이 되어있다면 처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if (prevState.array !== this.state.array) {
const {
scrollTop, scrollHeight
} = this.list;
// 여기서 반환 하는 값은 componentDidMount 에서 snapshot 값으로 받아올 수 있습니다.
return {
scrollTop, scrollHeight
};
}
}
componentDidUpdate(prevProps, prevState, snapshot) {
if (snapshot) {
const { scrollTop } = this.list;
if (scrollTop !== snapshot.scrollTop) return; // 기능이 이미 구현되어있다면 처리하지 않습니다.
const diff = this.list.scrollHeight - snapshot.scrollHeight;
this.list.scrollTop += diff;
}
}
전체코드는 https://codesandbox.io/s/484zvr87ow 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mponentDidUpdate
componentDidUpdate(prevProps, prevState, snapshot) {
}
이 API는 컴포넌트에서 render() 를 호출하고난 다음에 발생하게 됩니다. 이 시점에선 this.props 와 this.state 가 바뀌어있습니다. 그리고 파라미터를 통해 이전의 값인 prevProps 와 prevState 를 조회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getSnapshotBeforeUpdate 에서 반환한 snapshot 값은 세번째 값으로 받아옵니다.
컴포넌트 제거
컴포넌트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 단 하나의 API 가 호출됩니다:
componentWillUnmount
componentWillUnmount() {
// 이벤트, setTimeout, 외부 라이브러리 인스턴스 제거
}
여기서는 주로 등록했었던 이벤트를 제거하고, 만약에 setTimeout 을 걸은것이 있다면 clearTimeout 을 통하여 제거를 합니다. 추가적으로,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한게 있고 해당 라이브러리에 dispose 기능이 있다면 여기서 호출해주시면 됩니다.
직접 사용해보기
기존에 우리가 만들었던 카운터에 LifeCycle API 를 작성해보겠습니다. Counter.js 를 다음과 같이 수정해보세요.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Counter extends Component {
state = {
number: 0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console.log('constructor');
}
componentWillMount() {
console.log('componentWillMount (deprecated)');
}
componentDidMount() {
console.log('componentDidMount');
}
shouldComponentUpdate(nextProps, nextState) {
// 5 의 배수라면 리렌더링 하지 않음
console.log('shouldComponentUpdate');
if (nextState.number % 5 === 0) return false;
return true;
}
componentWillUpdate(nextProps, nextState) {
console.log('componentWillUpdate');
}
componentDidUpdate(prevProps, prevState) {
console.log('componentDidUpdate');
}
handleIncrease = () => {
const { number } = this.state;
this.setState({
number: number + 1
});
}
handleDecrease = () => {
this.setState(
({ number }) => ({
number: number - 1
})
);
}
render() {
console.log('render');
return (
<div>
<h1>카운터</h1>
<div>값: {this.state.number}</div>
<button onClick={this.handleIncrease}>+</button>
<button onClick={this.handleDecrease}>-</button>
</div>
);
}
}
export default Counter;
콘솔에 찍히는 메시지들을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5의 배수일때는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되지 않는 것도 확인하세요.
컴포넌트에 에러 발생
render 함수에서 에러가 발생한다면, 리액트 앱이 크래쉬 되어버립니다. 그러한 상황에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는 API 가 한가지 있는데 한번 알아봅시다!
componentDidCatch
componentDidCatch(error, info) {
this.setState({
error: true
});
}
에러가 발생하면 이런식으로 componentDidCatch 가 실행되게 하고, state.error 를 true 로 설정하게 하고, render 함수쪽에서 이에 따라 에러를 띄워주시면 됩니다.
이 API 를 사용하시게 될 때 주의하실 점이 있는데요, 컴포넌트 자신의 render 함수에서 에러가 발생해버리는것은 잡아낼 수는 없지만, 그 대신에 컴포넌트의 자식 컴포넌트 내부에서 발생하는 에러들을 잡아낼 수 있습니다
일단 문제가 발생하는 코드를 작성해봅시다!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onst Problematic = () => {
throw (new Error('버그가 나타났다!'));
return (
<div>
</div>
);
};
class Counter extends Component {
// ... 생략
render() {
return (
<div>
<h1>카운터</h1>
<div>값: {this.state.number}</div>
{ this.state.number === 4 && <Problematic /> }
<button onClick={this.handleIncrease}>+</button>
<button onClick={this.handleDecrease}>-</button>
</div>
);
}
}
export default Counter;
Problematic 이라는 컴포넌트를 만들고 이 값이 4가 되면 렌더링을 하도록 설정했습니다. Problematic 은 렌더링이 될 때 에러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throw 를 사용하게끔 했는데요, 한번 카운터 값이 4까지 올라갔을때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여기서 이렇게 빨갛게 Error: 버그가 나타났다! 라고 뜨는 부분은 개발모드에서 제공해주는 기능입니다. 프로덕션에선 이 화면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여기서 X 를 눌러보시면,
그냥 비어있는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자, 그럼 componentDidCatch 를 통하여 자식 컴포넌트에서 발생한 에러를 잡아보겠습니다.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onst Promblematic = () => {
throw (new Error('버그가 나타났다!'));
return (
<div>
</div>
);
};
class Counter extends Component {
state = {
number: 0,
error: false
}
// (...)
componentDidCatch(error, info) {
this.setState({
error: true
});
}
render() {
if (this.state.error) return (<h1>에러발생!</h1>);
return (
<div>
<h1>카운터</h1>
<div>값: {this.state.number}</div>
{ this.state.number === 4 && <Promblematic /> }
<button onClick={this.handleIncrease}>+</button>
<button onClick={this.handleDecrease}>-</button>
</div>
);
}
}
export default Counter;
이젠 어떻게되나 볼까요?
다시 카운터를 4로 올리면, 빨간 에러창은 여전히 뜨게 됩니다. 하지만 X 를 눌렀을 때, 앱이 크래쉬되는 것이 아니라 에러가 발생했다는 메시지가 뜨게 됩니다.
보통, 렌더링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하는것은 사전에 방지해주어야 합니다. 주로 자주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존재하지 않는 함수를 호출하려고 할 때 (예를들어서 props 로 받았을줄 알았던 함수가 전달되지 않았을때)
this.props.onClick();
- 배열이나 객체가 올 줄 알았는데, 해당 객체나 배열이 존재하지 않을때
this.props.object.value; // object is undefined
this.props.array.length; // array is undefined
이러한 것들은 render 함수에서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막아 줄 수 있습니다.
render() {
if (!this.props.object || !this.props.array || this.props.array.length ===0) return null;
// object 나 array 를 사용하는 코드
}
혹은, 우리가 이전에 배웠었던 컴포넌트의 기본값을 설정하는 defaultProps를 통해서 설정하면됩니다.
class Sample extends Component {
static defaultProps = {
onIncrement: () => console.warn('onIncrement is not defined'),
object: {},
array: []
}
}
하지만 이걸로도! 놓쳐버린 버그들은 componentDidCatch 를 통해서 잡아주고, 필요시엔 에러의 세부내용을 서버쪽에 기록하게해서 조사해보면 되겠지요?
정리
리액트 컴포넌트가 사용될 때 각 상황에 따라 호출되는 LifeCycle API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API 들은 알아두면 여러상황에 유용하게 쓸 수 있으니, 어떠한 API 들이 있는지 인지해두시고, 나중에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을 때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state 와 props 를 사용하여 컴포넌트간의 데이터 교류와 조금 더 복잡한 상태관리를 다뤄보겠습니다.